APP下载

신라 -고려 시기 경물 묘사 관련한시의 어음문체론적 특성 소고

2017-10-20马元杰延边大学

韩国语教学与研究 2017年2期
关键词:延边大学

|马元杰| 延边大学|

1.서론

한시를 접하는 방법에는 흔히 두 가지가 있다 .그중 하나는 조선한자음으로 읊는 음독의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시구의 뜻을 풀이해 읊는 훈독의 방법이다 .음독은 주로 한어의 언어특색을 나타내고 훈독은 주로 현대 한국어의 언어특색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는데 양자는 모두 동일한 한시의 내용을 나타낸다.이에 필자는 동일한 내용을 나타내는 한어와 한국어의 어음문체론적 특성이 각각 어떤 양상을 보일지에 대해 호기심을 가지고 초성,중성 , 종성 ,개음절과 폐음절로 갈래를 나누어연구해보려 한다.

아울러 본고에서는 『韓國의 옛詩』(1)를 저본으로 하며 이 책에 실린 74편 의 신라 -고려시기의 한시 가운데서 경물을 묘사한 한시14편을 선택해 음독과 훈독으로 나누어 그어음문체론적 특성에 대해 탐구해보기로 한다 .아울러 본고의 연구대상으로 되는 한시들의 음독과 훈독은 상기 서적에 실린 원문을기준으로 함을 밝힌다.

2.한시 음독과 훈독에 대한 초성비교

2.1 음독에서의 초성 빈도 및 양상

음독에서의 초성 빈도를 도표로 보이면 다음과 같다.

부수 빈도 부수 빈도ㅇ73ㅎ31ㅅ66ㅁ19ㅈ51ㄷ17ㄱ45ㄹ16ㅊ39ㄴ10ㅂ34ㅌ3

(1) ‘ㅋ, ㅍ, ㄲ, ㄸ, ㅃ, ㅆ, ㅉ’의 양상 분석

상기의 자음들은 음독 가운데서 한 번도 출현하지 않았는바 이는 “조선한자음에는 된소리자가 없고 다만 ‘双’,‘氏’자 가 ‘쌍’ ,‘씨’로 발음될 뿐인데 이것은 극히 개별적이다.따라서조선한자음에는 된소리체계가 없다.”(2)는 이론과 거센소리 자음 ‘ㅋ’는 ‘쾌’자 등과 같은몇 개 자에만 나타난다(3)는 이론과 일치하다.

아울러 한국어에서 된소리는 “배고 되고 밀도높고 강하고 질기고 단단한 느낌을 준다”(4)고하는데 한자음에서는 된소리가 잘 나타나지않으므로 한국어에 비해 상기의 특징들이 거의 없으며 세기가 다소 약하게 나타나고 있다 .아래의 예문을 보기로 하자.

예1:

상기의 예문은 고려시기 문인인 정지상의한시 「개성사(开圣寺)」에서 발취한 것인데 음영부분으로 된 한자 ‘末’의 경우 ,한자음은‘말’이 고 훈독은 ‘끝’인 바 한국어의 훈독이 “배고 되고 밀도 높고 단단한 느낌을 주는 것”과달리 한자음은 세기가 약하게 표현된다.

또한 한국어에서 흔히 ‘거 센소리’로 웅장한기세를 나타낸다(5)고 하는데 한자음의 경우에는 웅장한 경물을 표현함에 있어서 ‘거 센소리’자음이 비교적 적게 쓰인다는 것을 보아낼 수있다 .다만 자음 ‘ㅊ’의 사용이 비교적 많고그 외의 거센소리 자음은 아예 나타나지 않거나 빈도가 극히 낮았다.

예2:

위의 예문은 고려시기 문인인 이인로의 한시 「연사만경(烟寺晩镜)」에서 발취한 것으로서 음영부분으로 된 한자 ‘蒼’의 경우 ,한자음과 훈독에 모두 ‘창’자가 망라되며 공동으로“웅장한 바위 숲”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었음을알수있다.

(2)유성음 ‘ㄴ, ㅁ, ㄹ’ 와 무성음 ‘ㅅ, ㅈ,ㄱ, ㅊ, ㅂ, ㅎ’의 양상 분석

상기의 초성빈도표에서 보아낼 수 있듯이기존의 현대 시가에서 높은 빈도율을 보였던초성 ‘ㄴ, ㅁ, ㄹ’ 의 빈도가 낮고 초성 ‘ㅅ, ㅈ,ㄱ, ㅊ, ㅂ, ㅎ’ 등의 빈도가 높은 것이 본 연구에서 보여지는 선명한 특점이라 할 수 있다 .한국어에서 유성음은 “유창함과 우아함,명랑함을 나타낸다”고 하는데 한자음에서는이러한 유성음들의 빈도가 낮고 대신에 파열음(ㄱ , ㅂ ); 파찰음 (ㅈ , ㅊ ); 마찰음(ㅅ , ㅎ)의 빈도가 현저히 높다.

한시를 읊을 때 음독이 훈독에 비해 “난삽한 느낌”을 준다고 여겨지는데 여기에는 음독과 훈독의 부동한 초성 빈도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생각된다 .즉 음독에서는 파열음 , 파찰음 ,마찰음이 높은 빈도를 차지하고훈독에서는 유창성에 일조하는 유성음이 높은빈도를 차지하는바 위의 견해는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2.2 훈독에서의 초성 빈도 및 양상

훈독에서의 초성 빈도를 도표로 보이면 다

음과 같다.

위의 초성 빈도표에서 알 수 있듯이 음독에서보다 다양한 초성들이 출현하고 있으며 된소리의 비율이 현저히 낮다 .구체적으로 보면자음 ‘ㅍ, ㅃ’를 제외하고 기타 초성들이 모두출현했다 . 아울러 ‘직역법’을 숭상하는 한시번역문체의 특성상 된소리의 빈도가 한국어본연의 시문보다 낮게 나오는 것도 이해될 수있는 사실이다.

또한 형식자음 ‘ㅇ’을 제외하면 유성음 ‘ㄴ,ㄹ’의 빈도가 앞자리를 차지하는데 훈독에서는 기존의 한국어로 된 시들에서처럼 유성음의 비율이 현저히 높게 나오고 있다 .이는 앞서 분석한 음독과 선명한 대비를 이루는 부분이며 한국어로 된 훈독이 한자음 음독문보다느낌상에서나 읽기 방면에서 유창한 감을 주는 원인 해석에 일조한다고 여겨진다.

3.한시 음독과 훈독에 대한 중성비교

본 연구에서 사용한 텍스트가 한글맞춤법에따른 텍스트인 연고로 한글맞춤법 관련 규정에 따라 다음의 분류법을 사용하기로 한다.

양성모음 , , , , , , , ,ㅏㅐㅑㅒㅗㅘㅙㅚㅛ음성모음 , , , , , , , , ,ㅡ ㅢ중성모음 ㅣㅓㅔㅕㅖㅜㅝㅞㅟㅠ,

3.1 음독에서의 중성 빈도 및 양상

음독에서의 중성 빈도를 도표로 보이면 다음과 같다.

부수 빈도 부수 빈도 부수 빈도ㅏ90ㅐ26ㅖ 4ㅜ63ㅕ26ㅟ 4ㅗ62ㅑ9ㅔ2ㅣ56ㅘ9ㅚ2ㅓ36ㅡ7ㅛ2ㅠ30ㅝ6ㅢ2

아래 음독에서의 양성 ,음성 모음 출현 양상을 나누어 보기로 한다.

(1)음독에서의 양성 모음 출현 양상

부수 빈도ㅏ90ㅗ62ㅐ26ㅑ9ㅘ9ㅚ2ㅛ2

(2)음독에서의 음성 모음 출현 양상

부수 빈도 부수 빈도ㅜ63ㅝ6ㅓ36ㅖ4ㅠ30ㅟ4ㅕ26ㅔ2ㅡ7ㅢ2

(3)음독에서의 모음의 음양 비율 (중 성 제외)

위에서 제시한 음독 가운데의 양성,음성모음 출현 양상에 근거해 그 비율을 살펴본결과 아래의 원도표를 얻을 수 있었다.

비교를 해본 결과 ,음독문에서는 양성 모음이 200차 , 음성 모음이 178차 출현함으로써양성 모음이 조금 더 많이 나타났는바 음독가운데의 양성 모음과 음성 모음의 비율은53: 47로 나타났다.

3.2 훈독에서의 중성 빈도 및 양상

훈독에서의 중성 빈도를 도표로 보이면 다음과 같다.

부수 빈도 부수 빈도 부수 빈도ㅏ218ㅔ58ㅢ 8ㅣ134ㅐ31ㅑ 4ㅡ106ㅕ24ㅝ 4ㅗ105ㅠ15ㅙ 1ㅜ74ㅘ 8ㅚ1ㅓ61ㅟ 8ㅛ1

아래 훈독에서의 양성 ,음성 모음 출현 양상을 나누어 보기로 한다.

(1)훈독에서의 양성 모음 출현 양상

부수 빈도 부수 빈도ㅏ218ㅑ 4ㅗ105ㅙ 1ㅐ31ㅚ1ㅘ8ㅛ1

(2)훈독에서의 음성 모음 출현 양상

부수 빈도 부수 빈도ㅡ106ㅠ 15ㅜ74ㅟ 8ㅓ61ㅢ 8ㅔ58ㅝ 4ㅕ 24

(3)훈독에서의 모음의 음양 비율 (중 성 제외)

위에서 제시한 훈독 가운데의 양성,음성모음 출현 양상에 근거해 그 비율을 살펴본결과 아래의 원도표를 얻을 수 있었다.

비교 결과 ,훈독문에서는 양성 모음이369차 출현하고 음성 모음이 358차 출현함으로써 양성 모음이 조금 더 많이 나타났는바 훈독 가운데의 양성 모음과 음성 모음의 비율은51 :49로 나타났다.

3.3자체 내에서의 음양 비율 비교

음독 (53 :47)

훈독(51 :49)

상기의 비교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음독 혹은훈독 자체 내에서의 모음의 음양 비율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모두 빈도 상 양성 모음이음성 모음보다 높게 나왔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음독 가운데서 양성 모음이 점하는 비율이 훈독보다 조금 더 높게 (53:51) 나왔다.

아울러 초성과 종성의 경우에 유창성,경제성 ,명랑함 등으로 미루어 볼 때 현대어로 풀이된 훈독 가운데의 양성 모음 비율이 더욱높을 것이라고 예상한 것과 달리 오히려 한자음으로 된 음독중의 양성 모음 비율이 조금더 높게 나왔다.

4.한시 음독과 훈독에 대한 종성비교

(1)음독에서의 종성 빈도 및 양상

음독에서의 종성 빈도를 도표로 보이면 다음과 같다.

부수 빈도ㅇ82ㄴ76ㄱ39ㄹ20ㅁ14ㅂ4

위의 도표에서 보아낼 수 있듯이 유성음으로 끝나는 받침이 우위를 점하고 ‘ㄷ’계열 종성이 나타나지 않고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음독에서의 초성의 경우와 달리 ,종성에서는 유성음이 우위를 점한다 . 또한 ‘ㄷ’계열 종성은아예 한 번도 나타나지 않았고 ‘ㄱ, ㅂ’계 열 종성은 유성음 관련 종성에 비해 빈도가 낮다.

이는 한문 송독 과정에서 느껴지는 난삽함에는 종성보다 초성의 작용이 더 큼을 보여주는 일례이다.

(2)훈독에서의 종성 빈도 및 양상

훈독에서의 종성 빈도를 도표로 보이면 다음과 같다.

부수 빈도 부수 빈도 부수 빈도ㄴ115ㅅ14ㄲ 3ㄹ94ㅂ8ㄷ3ㅇ34ㄺ5ㅈ3ㅁ31ㅄ4ㅊ3

ㄱ29ㅌ4ㄶ2ㅆ18ㅍ4ㅎ1

훈독 가운데의 종성을 보면 유향자음으로 끝나는 받침이 우위를 점하고 ‘ㄱ, ㄷ, ㅂ’계열종성이 음독에 비해서 많이 나타나지만 유성음 받침보다는 적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아래의 도표를 통해 더욱 선명하게 알 수 있다.

아울러 훈독의 경우에는 초성과 종성에서모두 유성음이 우위를 차지함을 알 수 있다.이를 통해 언어의 ‘경제성 원리’에 더 접근함으로써 한시 원문의 음독보다 읽고 이해하는데 더욱 편리하게 된다.

5.한시 음독과 훈독에 대한개음절 및 폐음절의 비교

(1)음독에서의 개음절 및 폐음절 비율먼저 아래의 도표를 보기로 하자.

전체음절수 466폐음절 291개음절 175

위의 도표에서 제시했듯이 음독에서는 폐음절의 비율이 개음절에 비해 현저히 높게(62:38) 나왔다. 하지만 대부분의 폐음절은 유성음으로 의미적인 것들과는 무관하게 다만소리 자체로 모음과의 음성적 동질성을 공유하는 부분들을 바탕으로 시 전체의 리듬을 부드럽게 전개시키는 데 일조한다.

(2)훈독에서의 개음절 및 폐음절 비율아래의 도표를 보기로 하자.

전체음절수 8 4 7폐음절 3 7 4개음절 4 7 3

위의 도표에서 보여주는 것과 같이 훈독에서는 음독과 정반대로 개음절의 비율이 폐음절에 비해 현저히 높게(56:44 ) 나왔다 .또한앞서 서술했듯이 폐음절 가운데의 73%는 유성음으로 된 폐음절임을 감안하면 개음절 관련 비율은 더욱 커진다.

흔히 한국어에서 개음절은 폐음절에 비해유창하고 명랑한 느낌을 준다(6)고 한다.앞의초성 ,종성 관련 분석과 비교해 볼 때 한문보다 유창하게 읽히는 한국어의 특성상 개,폐음절의 비율은 동일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6.결론

이상으로 본고에서는 고려 -신라 시기의 경물 묘사 한시 14편에 대해 음독과 훈독으로나누어 그들의 초성 , 중성 , 종성 및 개 ,폐음절의 양상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관련 한시들의 어음문체론적 특성을 고찰해 보았다.

우선 ,초성의 경우에 음독에서는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 등이 높은 빈도를 차지해 “딱딱하고 난삽한 감”을 실어준 것과 달리 훈독에서는 폐성음이 높은 빈도를 차지해 유창성에일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성의 경우 ,음독과 훈독 자체 내에서의 음양 비율은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는데 모두 양성모음이음성모음보다 빈도가 높았다 .아울러 종성의경우 ,음독과 훈독을 막론하고 모두 유성음이우위를 점했고 개 ,폐음절의 양상 가운데서도폐음절일 경우에 양자 모두 유성음 종성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로부터 상기 14편의 경물 묘사 관련 한시들의 송독의 유창성에 기하는 중요한 요인은 초성 종류의 부동한 빈도인바 중성과 종성및 개 ,폐음절의 변별적 자질은 뚜렷하지 않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석

(1)김희보,『韓 國의 옛詩』, 종로서적,1986.

(2)리득춘,『한조언어문자관계사』 ,동북조선민족교육출판사,1992:51.

(3)리득춘,『한조언어문자관계사』 ,동북조선민족교육출판사,1992:51.

(4)김광수, 김철준, 지동은 외,『조선어문체론』,연변대학출판사,2010:140.

(5)김광수, 김철준, 지동은 외,『조선어문체론』,연변대학출판사,2010:141.

(6)김광수, 김철준, 지동은 외,『조선어문체론』,연변대학출판사,2010:143.

참고문헌

[1]김희보,『韓 國의 옛詩』, 종로서적,1986.

[2]리득춘,『한조언어 문자관계사』 ,동북조선민족교육출판사,1992.

[3]김광수, 김철준, 지동은 외,『조선어문체론』,연변대학출판사,2010.

[4]김철준,『조선어 어음론』, 연변대학출판사,2016.

[5]김성규,『소리와 발음』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2013.

猜你喜欢

延边大学
“留白”是个大学问
《大学》征稿简则
《大学》
48岁的她,跨越千里再读大学
大学求学的遗憾
延边大学美术学院研究生作品
延边大学美术学院绘画作品
延边地区新型城镇化与扶贫开发联动研究——以龙井市为例
“图们江论坛2018”在延边大学举行
午睡里也有大学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