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下载

한국어 커뮤니케이션 능력향상을 위한담화표지 ‘좀’의 교육 연구*

2017-10-20金贵花延边大学

韩国语教学与研究 2017年4期
关键词:社会学科延边重点项目

|金贵花| 延边大学|

1.서론

한국어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단순히 문장구성 능력만을 뜻하지 않는바, 현재 국내외 학계에서 담화표지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있다 .성공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해서는 담화 능력이 필수적이며 담화표지의 습득은 실제 담화 구현에 더욱 가깝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심 영재 ,2012:165) 임규홍(1996)에의하면 한국어 구어 담화에서 담화표지가 전체 구어 담화의 14%를 차지하고 있다고 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로부터 볼 때 담화표지는언어의 주변적 요소이지만 현실 언어에서 차지하고 있는 전략적 기능을 고려한다면 교사의 지도가 반드시 필요한 영역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실제 담화에서 출현 빈도수가 높은(1)담화표지 ‘좀’이 맥락에서 나타내는 특수 담화 효과에 대한 중국인 한국어학습자들의 이해를 증가하고 습득의 필요성및 새로운 교수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궁극적으로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언어를 더 생동감 있고 풍부하게 하는 담화표지를전략적으로 사용하여 한국어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담화표지에 대한 연구는 담화분석 이론의등장과 직결되어 있다.Labov&Fanshel(1977)의 연구결과로부터 많은 연구자들이 담화표지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여 1980년대부터 담화표지에 대한 연구가 본격화되었다.따라서Schiffrin,Blakemore와 같은 연구자들의 연구결과가 주목을 받았으며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영어권의 영향을 받아 한국어 담화표지에 관한 연구도 본격적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1990년 대까지 만해도 담화표지를 한국어교육에 접목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 .2000년대부터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이 늘어나고한국에 한국어를 배우러 가는 유학생이 증가하면서 한국어 교육적 측면에서 담화표지에대한 연구도 활성화되었다 .그렇다면 중국 국내에서의 한국어교육 관련 담화표지에 대한연구 현황은 어떠할까 ?실제 담화 능력에 있어서 담화표지의 학습과 교수가 중요함에도불구하고 중국 국내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담화표지를 주제로 한 연구는 아주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공백을 조금이나마 메우고 커뮤니케이션에서 담당하는 담화표지의 중요성을 인지시키고 점차적으로 이를 교육 현장에 적극적으로 적용시키기 위한 일환으로시도되었다.

2.이론적 배경

2.1 담화표지

Austin (1962)과 Searle( 1975)은 언어 연구의 고유의 관점인 문장의 참과 거짓을 가리는정적인 연구에서 벗어나 ,행동의 차원에서 언어를 고찰하는 동적인 연구로 방향을 전환시켰다.

담화표지의 정의에 대하여 어느 기능을 중심으로 하느냐에 따라 학자마다 부동한 정의를 내리고 있다.Schiffrin (1987)은 담화표지(2)를 “발화 단위를 묶는 데 사용되는 연쇄적으로 나타나는 의존 요소”라고 정의하고 있다.이한규 (1999)는 “발화의 명제 의미에 영향을미치지 않고 말하는 이의 믿음 , 전제 ,태도를보여주는 모든 언어적 형태”라고 정의하고 있다 .또한 임규홍 (1998)은 담화표지를 “명제적의미보다는 말할 이의 태도나 발화 책략의 기능을 하는 언어표현”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담화표지가 가지는 기능을 중심으로 담화표지에 대한정의를 재정립하면 다음과 같다 .담화표지는담화의 결속력에 기여하는 담화 상황에서 의미 부가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주로 화자의심리적 태도를 나타내는 언어 장치이다.

2.2 담화표지 ‘좀’의 기능

한국어 담화표지의 기능을 다룬 대표적인연구로는 손세모돌 (1988), 정선혜 (2005),안주호( 2009), 김귀화( 2014)가 있는데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표 1> 담화표지 ‘좀’의 기능

본고에서는 ‘좀’의 기능을 분석한 김귀화(2014)의 연구 결과를 이용하여 기존 연구와는조금 다르게 접근하고자 한다.김귀화(2014)는21세 기 세종계획의 구어 원시 말뭉치402,213어절에 나타난 ‘좀’의 담화표지 1,321개를 대상으로 출현 환경과 분포로부터 출발하여 화행별 ,담화표지끼리의 공기관계 ,제약관계 등다양한 측면에서 접근함으로써 통합적인 관계에 의해 화행별 기능을 분석하여 그 사용 패턴을 범주화 ·체계화하였을 뿐만 아니라,담화표지 ‘좀’이 수행하게 되는 담화전략을 분석하였다.

3. 담화표지 ‘좀’의 교수방법

많은 연구에서 담화표지의 교육적 접근을담화표지의 기능에 따라야 한다고 주장하고있다 .그러나 그 기능이 복잡하고 다양하여학습자가 청자와의 빠른 피드백 속에 이루어지는 자연 대화에서 모어 화자가 아니므로 계산을 해서 발화를 하기에 대화의 질이 많이떨어지고 ,설사 담화표지를 사용한다고 해도자연스럽지 못하여 전략적으로 사용하는 목적에 도달하는 것은 더욱 어려운 작업이 된다.하여 그 기능들을 화행별로 단계성,체계성,결합관계를 고려하여 가르치면 보다 더 좋은교육적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다.

본고에서는 강현화 (2005)에 서 제시한 ‘도입 -제 시 -연 습 -사 용 -정 리’의 교수 절차에서의 제시 단계의 교수법에 대하여 집중적으로규명하고자 한다.

3.1 3단계 모델 적용

우선 김귀화 (2014) 에서 제시한 3단계 모델을 학습자들에게 소개하여 담화표지 ‘좀’의 기능적인 큰 틀을 잡아 줄 것을 권장한다.

이는 담화적 관점에서 담화표지를 기술한세 가지 이론적인 틀,Kroon( 1995)의 표지 기술을 위한 3단 계 모델,Erman(2001)의 담화표지의 세 가지 기능적인 영역,Parrot( 2002)의담화표지를 위한 기능적인 기준을 수정·보완하여 담화표지 ‘좀’의 기능적 단계를 텍스트적단계(The textual level) , 상호작용적 단계(The interactionnal level) , 태도적 단계(The attitudinal level)로 제시한다.

이런 방법으로 제시해주면 담화표지 ‘좀’은화자로서 텍스트를 생산할 때 어떤 기능들이있고 ,청자와의 피드백이 오가는 상호작용적단계에서는 어떤 기능들이 있으며 ,동시에 화자로서 자신의 의도나 감정을 표현할 때 어떤기능들이 있는지 학습자들의 머리속에 큰 틀이 잡히게 된다 .즉 담화표지 ‘좀’은 텍스트적단계에서는 ‘조 정하기 ’,‘초 점화’의 기능이 있고 ;상호작용적 단계에서는 ‘응 답 회피 ’,‘얼버무리며 넘어가기 ’, ‘발 화 약화 ’, ‘발 화 강화’,‘많은 정도성’의 기능이 있으며 ;태도적 단계에서는 ‘공 손성 ’, ‘조 심성 ’, ‘부 정적 정서 표출’,‘적극적 동의 ’등의 기능이 있다는 것을 기억하기 용이하게 된다.

3.2 화행에 따른 기능 제시

선행 연구에서 많이 언급된 교수방법으로매체를 활용하여 담화표지의 기능을 제시해주면 학생들의 관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물론 인기 드라마나 오락프로를 활용하여 학생들에게 제시하는 것은 흥미를 유발하기 좋은방법으로 권장할 만한 방법이다 .그러나 교사는 그런 산발적인 자료들을 정리하여 체계적으로 학생들에게 가르쳐야 한다.

그렇다면 이 체계를 무엇을 근거로 할 것인가가 문제인데 화행별로 대응하는 담화표지의기능을 분류하여 체계적으로 가르치는 것이다.김귀화( 2014)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설득 화행에 등장하는 담화표지 ‘좀’은 주로 ‘조정하기 ’기능을 , 칭찬 화행에서는 ‘적 극적 동의’의기능을 ,부탁 화행에서는 ‘발화 약화 ’,‘발화강화 ’,‘공 손성 ’,‘조 심성’의 기능을 담당하고있다 .또 불평 화행에서는 ‘많은 정도성’의 기능을 ,거절 화행에서는 ‘응 답 회피 ’,‘얼버무리며 넘어가기’의 기능을 가지며 ,질책 화행에서는 ‘초 점화 ’,‘부 정적 정서 표출’의 기능을갖는다 .그리고 위로 화행에서는 ‘적극적 동의’의 기능을 , 불평 화행에서는 ‘많은 정도성’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화행별로 접근을 하면 학습자들이 적어도자신의 발화가 칭찬 화행인지 거절 화행인지를 빠르게 판단할 수 있기에 대응하는 기능을훨씬 더 유창하게 사용할 수 있다.

3.3 공기 관계로 접근

이 방법은 위에서 제시한 방법의 심화라고볼 수 있다 .화행별 기능을 소개한 뒤에 담화표지 ‘좀’이 각 화행에서 화용적 기능을 수행할 때 주로 어떤 표현들과 공기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를 함께 가르치면 보다 더 매끄럽게한국어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설득 화행의 경우는 ‘-면 어때 ?’, ‘아 무리’와 자주 결합되고 ,질책 화행에서는 ‘-라고그랬지 ?’, ‘-지 말랬지 ?’, ‘이 런 ’, ‘그 만 ’등과결합되며 ,거절 화행에서는 ‘또 ’, ‘- ㄴ(는 )데 ’등과 결합된다 .또 부탁 화행에서는 ‘-아 /어주세요 ’,‘-면 안 될까요 ?,‘제 발 ’,‘명 사 +좀봐’와 같은 표현들과 자주 결합되고 ,불평 화행에서는 ‘그 니까 ’,‘글 쎄 ’,‘그 렇게 ’등과 결합되며 ,위로 화행에서는 ‘-면 ’, ‘-겠 지 ’등 표현들과 잘 결합된다 .그리고 과상 화행에서는‘그 렇게’ ,‘글 쎄’ ,‘그 니까 ’등 과 결합되고, 칭찬화행에서는 ‘원 래 ’,‘뭐 든지 ’등 표현들과 공기관계를 많이 이룬다.

공기관계를 이루는 표현들을 자주 사용하면모어 화자처럼 자연스럽게 담화표지 ‘좀’을 생동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어떤 방법으로 교수를 하든지 가장 중요시해야 하는 것은 바로 단계별 연습과 반복된연습 및 교사의 피드백에 따른 수정 과정을거친 반복 연습이다.

위의 내용을 정리하여 표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词 )등의 용어로 불리던 형태를 말한다.

<표 2> 담화표지어 ‘좀’의 화행별 담화기능

4.결론

커뮤니케이션은 현대 사회의 중심 의제이다 .담화표지는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에 긍정적으로 기여하는 유용한 전략으로서 교육현장에서 적극적으로 다뤄야 한다 .그러나 현재 국내에서는 이와 관련된 연구가 매우 미흡하며 그 중요성에 반해 이에 대한 교육이 교육 현장에서도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교사들은 담화표지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학생들이 담화표지가 들어있는 자연스러운 형태의자료를 접할 기회를 증가하여 평소 학생들과교류하거나 강의할 때 담화표지를 많이 노출시키는 작은 노력부터 시작하여야 한다.

앞으로 담화표지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있도록 교재의 개발 및 교수 방법에 있어 다양한 시도를 계속하여야 할 것이다.

주석

*本论文为吉林省高等教育学会高等科研重点项目(JGJX2017C12) ,延边大学人文社会学科基金项目(QN2017004)。

(1)안의정 (2008)은 대규모 말뭉치를 이용하여담화표지의 출현 빈도수를 측정한 결과 좀(8268.7), 다(7788.9), 막(788.7),이렇게(658.3), 그렇게(416.4),이제 (278.7),정말(107.2) 순이었다.

(2)담화표지(Discourse marker)는 전통적으로 군

말, 디딤말, 머뭇거림, 입버릇, 머뭇말, 덧말,담화 불변화사, 주저어 , 부가어, 담화 대용표지, 화용표지 , 환투사(唤投词),간투사(间投

참고문헌

[1]김귀화,「칭찬담화 상황에서 반응어로 나타나는 담화표지에 관한 연구」,『어문논집』44,2010.

[2]김귀화,「설득 커뮤니케이션에 나타난 담화표지에 관한 연구」,『한성어문학』31,2012.

[3]김귀화,「담화표지 ‘좀’의 담화전략에 관한연구」,『중국조선어문』195,2014.

[4]손세모돌,「설득 커뮤니케이션에 나타난 담화표지에 관한 연구」, 『한성어문학』 31,2012.

[5]심영재,「스페인어 교재에서의 담화 표지어분석과 효과적 교수 방안 연구」,『이베로아메리카』142,2012.

[6]안의정,「말뭉치를 이용한 어휘의 구어성측정과 활용」,『어문논집』57,2008.

[7]안주호,「한국어교육에서의 담화표지 위계화방안」,『한국어 교육』20,2009.

[8]이한규,「한국어 담화 표지어 ‘뭐’의 의미」,『담화와 인지』6,1999.

[9]임규홍,「국어 담화표지 ‘인 자’에 대한 연구」,『담화와 인지』2,1996.

[10]임규홍,「부사 ‘정 말’류 의 담화적 의미」,『한국어 의미학』2,1998.

[11]정선혜,「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담화표지 연구」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2005.

[12]Schiffrin,D, 『Discourse Markers』,Cambridge:Cambridge University Press,31,1987.

[13]Blakemore,D, 『Semantic Constraint on Relevance』,Oxford Basil Blackwell,1987.

猜你喜欢

社会学科延边重点项目
IPO&并购
IPO&并购
IPO&并购
IPO&并购
《延边大学学报》(社科版)2020年总目录
延边大学美术学院研究生作品
延边大学美术学院绘画作品
“图们江论坛2018”在延边大学举行
社会学科教学中人文素质教育融入对策研究
美国的社会学科教学实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