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下载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피동 표현 사용오류분석및교수학습내용

2017-10-20刘景玉韩国仁荷大学

韩国语教学与研究 2017年2期
关键词:天晴行李班长

| 刘景玉| 韩国 仁荷大学|

1.서론

피동(1)표현은 중국어와 한국어 두 언어에서 자주 쓰이는 문장 형식임에도 불구하고,두 언어의 차이를 간과하여 자주 오류를 범하게 되는 부분이다 .중국어는 독립어(2)이고,한국어는 교착어(3)이기 때문에 중국어에 비해한국어에는 피동 표현(4)이 훨씬 복잡하고 다양하게 나타난다 .그래서 중국인 학습자들은피동 표현을 사용할 때 많은 어려움을 격을수밖에 없다.

한국어교육 연구에서 진강려(2010)는 한국어‘- 이 /히 /리 /기’ 파생접미사로 구성된 피동표현 ,‘-어 지다’에 의한 피동 표현 , ‘-하 다’류동사의 피동 표현과 중국어 피동 표현을 간단하게 대조하고 고급 학습자의 오류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피동 표현 교수 학습 방안보다교수 학습 내용만 제시하였다 . 김용 (2012)은파생적 피동의 결과인 피동사와 이에 대응되는 중국어의 피동 표현을 대조 분석하여 양자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통해 간단하게 피동사교수 학습 내용만 제시하였다.장경청(2015)은 중한 피동 표현의 개념과 범위를 검토한후 ,한국어의 파생적 피동 ,통사적 피동 ,어휘적 피동과 중국어에서 가강 대표적인 ‘被字文’을 대조 연구하고 교재 분석과 오류 분석을바탕으로 효율적인 피동 표현의 유형 별로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는데 학습자 수준에 따른효율적인 교육 방안을 제시하지 못한 아쉬움이 있다.

이에 본 논문은 한국어 피동 표현에 대한인지 및 사용 양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중국내 대학의 한국어학과 재학생 8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학생들이 범한 오류의 유형과 오류 발생 원인을 파악할 것이다 .나아가 오류를 범하는 원인에 따른 효율적인 교수 학습 지도를 제시하고자 한다.

2.한국어 피동 표현의 유형 및특징

국립국어원 (2005) 은 피동의 범주를 ‘- 이/히 /리 /기’에 의한 접미피동법과 ‘-어 지다’에 의한 피동법 ,‘-되 다 / 받다 /당하다’에 의한 피동 표현으로 규정하였다 .이에 따라서본 논문도 ‘-이 /히 /리 /기’에 의한 형태적피동 ,‘-되 다 /받 다 /당하다’에 의한 어휘적피동 ,‘-어 지다’에 의한 통사적 피동 등 세가지로 나누어 분석기로 한다.

2.1 형태적 피동

형태적 피동은 피동사에 의한 피동문으로가장 전형적인 피동문이라 알려져 왔다.피동사에 의한 피동문은 타동사 어간에 피동의 접미사 ‘-이 / 히/ 리 /기’ 등이 결합하여 이루어진 피동사가 서술어로 참여하는 문장이다.(5)

(1) 능동문 고양이가 쥐를 잡았다.주어 목적어 능동사피동문 쥐가 고양이에게 잡혔다.주어 부사어 피동사

2.2 어휘적 피동

어휘적 피동은 주로 서술어인 ‘하 다’를 대신하여 피동의 뜻을 나타내는 ‘되 다 ’,‘받 다 ’, ‘당하다 ’등 동사를 같이 넣어서 만드는 문장이다 . ‘-되 다 ’, ‘- 당하다 ’, ‘받 다’는 동사와 같은의미를 가지는 명사에 붙어서 피동의 의미를나타낸다.

‘-되 다 /받 다 /당하다’에 의한 어휘적 피동은 혼동하기 쉬우므로 다음 표에서 어휘적 피동을 대조하기로 한다.

<표 1>어휘적 피동의 대조

2.3 통사적 피동

통사적 피동은 보조동사 ‘- 아( 어, 여) 지다’로 이루어진 피동을 가리킨다 .‘-어 지다’에의한 피동문은 타동사뿐만 아니라 자동사나형용사에 ‘-어 지다’가 결합한 서술어가 사용되는 피동문이다 . 고영근·구 본관 (2011)은 “-어지다’에 의한 피동문은 이미 언급한 것처럼의도적인 문맥에서 자연스럽다 . 그런데 ‘-어지다’가 특히 형용사에 결합하는 경우 피동의의미보다는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경우가많다 .그리고 피동의 의미를 표현하기 위해서‘- 에 의해’의 도움이 많이 필요하다. 반면 ‘-에 의해’의 도움 없어도 뚜렷한 피동문을 이룰 수 있는 예도 있다.”라 고 하였다 . 아래 ‘-어 지다 ’피동의 예문을 살펴보자.

(2)가. 드디어 꿈이 이루어졌다. (타 동사와 결합)나. 얼굴이 갑자기 굳어진다. (자 동사와 결합)다. 요즘 날씨가 점점 따뜻해진다 .(형용사와결합)

앞의 한국어 피동 표현 각 유형의 특징을도표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 표 2>한국어 피동 표현의 각 유형별 특징

3.한국어 피동 표현의 오류 분석

3.1 조사 대상

본고는 중국 내 청도농업대학교 ,산동공상대학교 ,서안외국어대학교 3개 4년제 대학교의 한국어학과 2학 년 ,3학 년 ,4학년 학생들을설문의 조사 대상으로 삼았다 .조사대상은 청도농업대학교에 재학 중인 2학년 학생 40명 ,산동공상대학교에 재학 중인 3학년 학생20명 ,서안외국어대학교에 재학 중인 4학년 학생 20명 으로 구성되었다 .1학년 학생들은 일부 피동 표현을 아직 배우지 않아서 설문조사의 신뢰도가 낮아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설문 대상에서 제외시켰다.

3.2 조사 결과 및 오류 분석

(1)형태적 피동 표현 오류분석

어휘의 피동형 작성 문항을 분석한 오답의유형은 다음과 같다 . 첫째 ,동사 어간에 접미사 ‘-이 /히 /리 /기 ’ 중 어떤 것을 붙일지잘 몰라서 범한 오류이다 . 둘째 ,피동접미사‘- 이/ 히 /리/ 기’를 사동접미사 ‘-이/ 히/리 /기 /우 /구 /추’와 혼동해서 범한 오류이다 . 셋째 , 형태적 피동 접미사 ‘-이 / 히 /리/기’를 ‘-아 / 어/ 여 지다’와 혼동해서 범한오류이다.

[2~(12)] 태풍이 집을 ______( 휩쓸었다)

① 휩쓸되다 ⓶ 휩쓸었다

③ 휩쓸렸다 ④ 휩쓸하였다

이 문항의 조사의도는 능동문과 피동문의구조를 잘 구분할 수 있는지 없는지에 있다.능동문의 구조가 ‘주 어 +목 적어 +능 동사’인 반면에 피동문의 구조는 ‘주 어 +부 사어 +피 동사’이다 . 문항 ‘태 풍이 집을 ________(휩쓸었다 ).’중 에서 주격조사 ‘이’와 목적격조사 ‘을’이 있으므로 ‘태 풍’이 주어이고 ‘집’이 목적어가 된다 .그러므로 정답은 ⓶번 ‘휩 쓸었다’이다 .그러므로 ⓶번을 제외한 다른 번호를 선택한 학생들은 ‘휩 쓸다’의 피동 표현을 잘못파악한 것이다.

문항 [ Ⅱ.3~(6)]

淑真感冒了。

정답 :수진은 감기에 걸렸다.

주요 오답: (가 ) . 수진이 감기에 걸려요.

(나 ) . 수진가 감기를 걸리다.

(다 ) . 수진이 감기가 했어요.

문항 [ Ⅱ.3~(6)]도 중국어에서 ‘被’자가없는 의미 피동문이지만 한국어에서 자주 쓰이는 문장이므로 틀린 학생이 많지 않았다.주요 오류 양상은 오답 (가 ),(나 ),(다 )이 다.오답 (가)는 ‘걸 리다’의 피동 표현이 잘못 쓰인 것이고 (나 )는 조사 ‘를’을 잘못 쓴 능동문과 피동문 혼동의 오류이다 .한국어 능동문의구조는 ‘주 어( 이 / 가) +목 적어( 을 / 를) +능 동사’이며 한국어 피동문의 구조는 ‘피 동주( 이/ 가)+부 사어(에 / 에 게/ 에 의해) +피 동사’이다.(다)를 쓴 학생은 능동문과 피동문의 개념을 전혀모르고 ‘감기 걸리다’라는 연어적 표현도 모르는것으로볼수있다.

(2)어휘적 피동 표현 오류분석

문항 [ Ⅱ.2~(16)]

진리가 과학자에 의해 ______.(발 견하다)

⓵ 발견되다 ② 발견해지다

③ 발견하다 ④ 발견하게 하다

이 문항의 조사 의도는 ‘- 되다/ 받다/ 당하다 ’어휘적 피동 표현의 차이를 잘 구분할수 있는지 없는지에 있다 .‘-되 다’에 의한 어휘적 피동 표현은 피동 주어가 사람이 아닌경우에 두루 쓰이고 자연적 변화에 따른 피동적 상활에 주로 쓰인다 .‘-당 하다’에 의한 어휘적 피동 표현은 외부로부터 원하지 않는 불행한 일을 당할 때 주로 쓰인다 .‘-받 다’에의한 어휘적 피동 표현은 제한 없이 좋은 일이나 불행한 일에 모두 쓰일 수 있다.‘진리가 과학자에게 발견되다’는 피동 주어 ‘진 리’가 사람이 아니며 자연적 변화이므로 이 문항의 정답은 ①번 ‘발 견되다’이 다.

문항 [ Ⅱ.3~(4)]

他被( 同 学们) 选为班长。

정답: 그가 (학 생들에 의해) 반장으로 당선되었다/ 뽑혔다.

주요 오답 :(가 ) . 그가 반장으로 선택하였다/지정했어요.

(나 ). 그는 반장을 선정집니다.

(다 ) . 그는 학생에게 반장으로 선발아졌어요/뽑았다 /고르게 했다/ 선발아졌어요/ 뽑아되었어요.

문항 [ Ⅱ.3~(4)]도 중국어의 피동 표지‘被’자가 있는 유표지 피동문이며 대부분의 학생들이 한국어 피동문으로 번역하는 것을 인식하였다 .‘-이 /히 /리 /기’에 의한 형태적피동 표현 ‘뽑 히다’와 ‘-되 다/받 다/당 하다’에의한 어휘적 피동 표현 역시 사용할 수 있다.그러나 일부분 학생들은 정확한 피동 표현을쓰지 못하였는데 특히 ,주의할 것은 한국어피동문에서 부사어 ‘학생들에 의한 ’구문이 없는 것이 더 자연스럽다는 것이다.

(가 )는 피동문에서 능동사가 그대로 쓰인것이고 (나 )는 번역문과 중국어 원문의 의미가 완전히 다르며 ( 다 )는 피동문이지만 피동표현이 잘못 쓰였다.

3.통사적 피동 표현 오류

문항 [ Ⅱ.2~(15)]

길이 _________(넓 다).

① 넓히다 ② 넓이다

⓷ 넓어지다 ④ 넓혀지다

타동사만 형태적 피동 표현이 있고 자동사와 형용사는 형태적 피동 표현이 없다.그러나 ‘-어 지다’에 의한 피동문은 타동사뿐만 아니라 자동사나 형용사에 ‘-어 지다’가 결합한서술어가 사용되는 피동문이다 . 그리고 ‘-어지다’가 특히 형용사와 결합하는 경우 피동의의미보다는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경우가많다 .‘넓 다’는 형용사이므로 접미사에 의한형태적 피동 표현이 없으므로 이 문항의 정답은 ③번 ‘넓 어지다’이 다.

문항 [ Ⅱ.3~(5)]

天晴多了。

정답: 날씨가 많이 풀렸다/ 맑 아졌다/ 개었다.주요 오답 :(가 ) . 날씨가 맑입니다 /맑 혀요/맑히졌어요 /풀 었다 /개어진다.

( 나) . 날씨가 깼다/ 깨졌다.

문항 [ Ⅱ.3~(5)]는 중국어에서 ‘被’자가없는 무표지 피동문이다 .모국어의 영향으로문장을 능동문으로 번역한 학생들이 많았다.이 외에 오답 (가 )처럼 문장을 피동문으로 번역하는 것을 인식하였지만 피동사를 잘못 쓴학생들도 있고 오답 (나)처 럼 ‘깨다’와 ‘개다’를 제대로 구분하지 못해서 오류를 범한 학생들도 있다 .‘개 다’는 원래 ‘흐리거나 궂은 날씨가 맑아지다’라는 의미가 가지고 있으므로‘개 어지다’는 틀린 표현이다.

3.3 오류 원인 분석

첫째 ,‘-이 / 히/ 리/ 기’의 오용 . 즉 ,능동사를 피동사로 바꿀 때 어떤 동사 어간에 ‘-이 -’를 붙이고 어떤 동사 어간에 ‘-히-’, ‘-리 -’, ‘-기 -’를 붙이는지 규칙이 없으므로기억하기 어렵다.

둘째 ,피동 접미사와 사동 접미사의 혼동.즉 ,피동 접미사 ‘-이 /히 /리 /기’와 사동접미사 ‘-이 /히 /리 /기 /우 /구 /추’를 혼동하여 사용한다.

셋째 ,어휘적 피동 표현의 각 유형의 혼동.즉 ,어휘적 피동 표현의 오류는 주로 ‘-되다/ 받다/ 당하다’에 의한 어휘적 피동 표현을혼동해서 잘못 사용한다.

넷째 ,통사적 피동 및 형태적 피동의 의미의 혼동 . 즉 ,‘-어 지다’에 의한 통사적 피동과‘- 이/ 히 /리/ 기’에 의한 형태적 피동의 의미 차이를 제대로 구분하지 못하여 범하는 오류다 .‘-어 지다’에 의한 통사적 피동 표현은의도적인 문맥에서 자연스럽다.

다섯째 ,능동문과 피동문을 구분 못함 . 즉,능동문과 피동문을 제대로 구분하지 못하여능동문에서 피동사를 쓰거나 피동문에서 능동사를 사용하여 오류를 범한다.

여섯째 ,피동문의 회피. 학생들이 피동문에어려움을 느껴 피동문을 회피하고 능동문으로문장의 의미를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거나 중국어 무표지 피동문의 영향으로 한국어의 피동문 대신 능동문을 잘못 사용하는 경우이다.

이상으로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피동표현에 대해 자주 범하는 오류를 유형별로 정리하고 원인을 분석했다 .이를 바탕으로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효율적인 교육내용을 모색하고자 한다.

4.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피동 표현 교수 학습 내용

오류 1:‘- 이/ 히 /리/ 기’의 오용.

설문 조사를 분석한 결과 학습자의 학년이높을수록 ‘놓 이다 ’,‘보 이다 ’,‘들 리다 ’ 등 자주쓰는 피동사를 정확하게 사용하고 있었다.이에 학습자가 한국어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피동 표현의 지식을 스스로 습득하고 오류를 수정하게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먹 히다’, ‘끊기다 ’등과 같은 피동사는 4학년이어도 오류를 많이 범하고 있었다 .이에 교사는 고급 학년에서는 먼저 과제를 주고 학습자가 그룹 활동으로 스스로 능동사를 피동사로 바꿀 때 어떤 동사의 어간에 ‘-이 ’를 붙이고 어떤 동사의 어간에 ‘-히 ’, ‘-리 ’, ‘- 기’를 붙이는지 규칙을 발견하게 하고 발표한 다음에 교사가 결과를 보완하거나 수정해 준다. 과제 수행을통해서 피동사의 형태에 초점을 두고 학습자중심의 활동을 통해서 학습자가 더 쉽고 오래기억할 수 있도록 한다.

오류 2: 피동 접미사와 사동 접미사의 혼동.

접미사에 의한 피동 표현과 사동 표현을 대조하여 교수하고 반복적으로 연습시킨다.예를 들면 ,접미사에 의한 피동 표현을 이미 학습하였으면 접미사에 의한 사동 표현을 학습할 때 먼저 피동 표현을 복습시킨다 .연습 단계에서도 피동 표현에 관한 문제와 사동 표현에 관한 문제를 섞어서 제출한다 .활동 단계에서 교사가 학생들을 A,B두 팀으로 나누고 교사가 능동사 (주 동사 )를 말하고 학생들은피동사나 타동사를 대답하게 한다 .먼저 대답한 팀에 1점을 주고 점수가 높은 팀이 이긴다.

오류 3: 어휘적 피동 표현의 혼동.

한 단어를 가르치고 반복적으로 연습시킨다 .학습자가 한국어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어휘적 피동에 대한 지식을 스스로 습득할 수있지만 여전히 많은 오류를 범하는 문제를 발견하였다 .하여 의미측면에서 어휘적 피동 표현의 각 유형의 특징 및 적용 상황을 중국어피동 표현과 대조하여 교수한다 .교수방법은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한국어 중국어 사용 상황 예‘- ’ 보통 능동표현으로표시한다.되다류 피동사피동 주어가 사람이 아닌 경우에 두루 쓰이고 자연적 변화에 따른 피동적 상황일 때 주로 쓰인다.걱정되다 担心이해되다 理解‘당하다류피동사- ’ 遭受 주로 불행한 일을 당할 때 쓰인다. 협박당하다 遭受恐吓거절당하다 遭受拒绝‘- ’ 受받다류 피동사긍정적인 상황이나 부정적인 상황에제한 없이 쓸 수 있지만 보통 긍정적인 일에 많이 쓰인다.감동받다 受感动칭찬받다 受表扬

오류 4:통사적 피동 및 형태적 피동의 의미

혼동.

통사적 피동과 형태적 피동의 차이를 의미측면에서 교수한다 .형태적 피동은 자연히 이루어진 일에 사용하기 자연스러운 반면에 통사적 피동은 의도적인 문맥에서의 사용을 중국어로 설명해 준다 .예를 들면 ,교사가 몸동작으로 코가 감기 때문에 막힌다는 것과 휴지로 코를 막아 코가 막히는 차이를 학생들에게보여준다 .활용단계에서 ,학생들은 짝을 지어서 형태적 피동과 통사적 피동을 어떤 경우에쓰는지 동작으로 표현하게 한다.

오류 5: 능동문의 실현 방법과 피동문의 실

현 방법을 구분하지 못함.

이는 학습자들이 피동문의 실현방법을 모르거나 피동문이 아직 익숙하지 않아서 오류를범하는 것이다 .피동 표현에 대한 학습자들의올바른 인식을 형성하기 위해 중급에서 처음에 피동 표현을 접촉했을 때 교사가 피동 표현의 의미 , 형태 ,피동문의 실현방법에 초점을 두고 잘 교수해야 한다 .예를 들면 교사가쥐가 고양이에게 잡힌다는 그림을 이용하여중국어로 그림 안에 있는 쥐와 고양이의 동작및 상태를 설명하고 학습자들이 피동 표현의개념에 대해 이해시키고 피동 표현과 능동 표현을 구분시킨다 .교사가 전에 쥐가 고양이에게 잡힌다는 그림을 묘사하는 글을 칠판에서써주고 피동문을 만드는 방법을 교수한다.능동문과 피동문을 어떻게 바꾸는지 특히 부사어 뒤에 어떤 경우에 ‘-에 게’를 사용하고 어떤 경우에 ‘-에 ’를 , ‘- 에 의해서’를 사용하는지 자세히 설명해 준다.

능동문 고양이가 쥐를 잡았다.

주어 목적어 능동사

피동문 쥐가 고양이에게 잡혔다.주어 부사어 피동사

오류 6: 피동문의 회피.

피동문을 회피하는 원인은 두 가지가 있다.하나는 피동문이 복잡하고 어려워서 학생들이피동문을 회피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중국어 무표지 피동문의 영향으로 한국어의 피동문 대신 능동문을 사용한다 .첫 번째 원인에대해서는 연습과 활용을 통해서 학습자가 피동 표현을 익히는 방법밖에 없다 .두 번째 원인에 대해서는 중국어 피동과 대조하여 한국어 피동을 교수하는 방법이 효율적이다.

가. 孩子起名字了吗?

아이가 이름이 지어졌어요?

나.他通过不断努力终于实现了梦想。

그는 수많은 노력을 통해서 드디어 꿈이이루어졌어요.

다. 行李都收拾完了吗?

짐이 다 정리되었어요?

중국어와 한국어는 일부 표현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중국어에서 능동표현을 사용하지만한국어에서는 피동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더자연스럽다.

가.天晴了。날씨가 풀렸다.

나.我感冒了。나는 감기에 걸렸다.

다.我很担心这次考试。

난 이번 시험이 많이 걱정된다.

5.결론

한국어는 교착어이고 중국어는 독립어이므로 두 언어의 피동 표현에는 많은 차이점이있다 .하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은 피동표현을 사용할 때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이에 본 논문은 학습자들의 설문을 통한 피동표현의 오류에 대해 분석하였다 .오류를 범하는 원인을 바탕으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위한 효율적인 한국어 피동 표현 교수 학습내용을 제시하여 피동 표현을 사용할 때 오류를 피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중국 내 대학의 한국어학과 재학생 80명을대상으로 한국어 피동 표현에 대한 인지 및사용 양상을 분석하기 위해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오류의유형과 오류 발생의 원인을 파악하였다.가장많이 범하는 오류는 형태적 피동사를 잘못 사용한 오류 ,피동 표현 유형의 선택 오류 ,피동문에 능동사를 그대로 사용하는 오류,그리고 피동 표현 대신에 능동 표현을 사용하는오류로 나타났다 .설문 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수준에 따른 효율적인 교수 학습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교수 학습 방법을 통해중국인 학습자 ,특히 중국 내 한국어 학과 재학생들이 한국어 피동 표현을 학습하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주석

(1)국립국어원( 2005)은 피동(被动) 을 “다른 사람에 의해 움직이게 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2)독립어(独立语)는 주어와 목적어 뒤에는 조사가 필요 없으며 ,서술어 뒤에는 어미가필요 없다.

예:我 吃 饭 了。주어 서술어 목적어 허사

나 먹다 밥

동작의 변화와 완료를 나타냄.

(3)교착어(交着语 또는 附着语) 는 주어와 목적어 뒤에 조사를 붙여야 하며, 서술어 뒤에어미가 있어야 한다.

예: 나(는 ) 밥(을 ) 먹었(습 니다).

주어 목적어 서술어

( 주격조사) ( 목적격 조사) ( 어말어미)

(4)중국어의 피동 표현에는 세 가지가 있다.첫 번째는, 전치사 ‘被’, ‘叫’, ‘让’, ‘给’, ‘由’를 이용하여 피동 표현을 만드는 것이고 두번째는,어휘 ‘遭受’,‘受’를 사용하여 피동표현을 만드는 것이며 세 번째는 ,피동 표지를 사용하지 않고 문장 내의 연결 및 문장과 문장의 연결에서 피동의 의미를 나타내는 것이다.

예문:가.小偷被警察抓住了。

도둑이 경찰에게 잡혔다.

나.他受到大家一致好评。

그는 많은 사람에게 칭찬받았다.

다.学校已经盖起来了。

학교는 이미 지어졌다.

(5)고영근,구본관.2011:348.

참고문헌

[1]고영근, 구본관,『우리말 문법론』,집문당,2011.

[2]김민수,『국어의미론』,일조각,1981.

[3]김용,「한국어 피동사 교육 방안 연구―한·중 대조 분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2012.

[4]김정해,「중국인 학습자들을 위한 한국어피동 표현 교육 방안」 ,고려대학교대학원,2012.

[5]국립국어원,『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 1』,커뮤니케이션북스,2005.

[6]박덕유,『학교 문법론의 이해』, 도서출판 역락,2012.

[7]박덕유 외,『한국어교육의 전략과 탐색』,도서출판 박문사,2010.

[8]박덕재·박성현,『외국어 습득론과 한국어 교수』,박이정,2011.

[9]이효숙,「한국어 교육에서의 효율적인 피동교수 방안― 일본인 학습자를 대상으로」,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2008.

[10]진강려,「고급 학습자를 위한 피동 표현교수 학습 연구」 ,한국어교육연구,2010.

[11]장경청,「한국어 피동 표현 사용 실태 및교육 방안 연구」 ,충복대학교,2015.

[12]최현배,『우리말본』,정음사,1937.

[13]최영,「한국어와 중국어 피동문의 대조연구」 ,연세대학교,2008.

猜你喜欢

天晴行李班长
教你如何“看穿”行李
差一点儿当班长
屋乌之爱
"天晴水绿 生命惬意"关爱生命 保护环境公益广告
行李
教你轻松收拾行李
班长的烦恼
这天怎么了
每天一个新班长
收拾行李